
1. 유닉스 편집기 유닉스에서는 편집기를 이용해 파일 작성 및 수정 가능함 주로 행 단위 편집기/ 화면 단위 편집기 (gedit,gvim) 를 사용 유닉스 편집기의 종류 행 단위 편집기 ed : 유닉스 초기에 사용 ex :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단 vi와 연결해 사용 화면 단위 편집기 윈도우처럼 전체 내용을 화면 단위로 보면서 커서를 이동하며 작업 (emacs, vi) 모드형과 비모드형 - 비모드형 입력한 모든 키는 데이터로 간주됨 명령은 특수키 (Ctrl,, Alt등) 와 일반키의 조합으로 구성 예 : 아래 한글, 워드 - 모드형 명령모드에서 입력한 키는 명령으로 간주 입력모드에서 입력한 키는 데이터로 간주 모드를 바꾸기 위한 특수 키가 있음 (예 : ESC) vim은 모드형 비모드형에서의 키보드의 a는 ..

1. 파일 내용 보기 : cat cat [옵션] 파일명 짧은 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때 적합 파일의 내용이 길 경우 스크롤 때문에 불편함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연속적으로 출력 - 옵션 -n : 행 번호를 같이 출력 > : 기존의 데이터는 없어지고, 새롭게 입력됨 >> : 기존의 데이터 뒤에 새로운 데이터를 붙임 ex) hello.txt 의 내용 : kim / hi.txt 내용 : jung cat hello.txt >> hi.txt 하면 내용이 kim jung으로 바뀜 2. 파일 내용 보기 : more more [옵션] 파일명 파일의 내용을 한 화면 씩 출력 화면 단위로 출력 후 남은 출력 내용을 하단에 표시해줌 ex) –More—(60%) - 옵션 +[행 번호] : 입력한 행부터 출력이 시작됨 - 명령 페..

1. 유닉스 파일 시스템 - 파일 : 관련 있는 정보들의 집합 유닉스는 시스템의 모든 정보와 장치를 파일로 관리 - 파일 시스템 : 시스템 내의 파일을 효과적으로 관리 위해 계층적으로 구성한 유닉스 시스템의 파일과 디렉토리의 집합 - 유닉스는 시스템 내의 파일을 효과적으로 관리 하기위해 디렉토리를 계층적으로 구성 2. 파일의 종류 - 파일의 종류 : 일반 파일, 디렉토리 파일, 심볼릭 링크 파일, 장치 파일 - 일반 파일 데이터의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파일 (텍스트파일, 바이너리 파일로 구분) 텍스트 파일 파일의 내용이 문자인 아스키 코드로 구성된 파일 (cat, more 명령을 이용해 문서내용 확인 가능) 바이너리 파일 내용이 아스키 코드가 아닌 모든 파일 실행파일과 데이터 파일(이미지, 소리, 동영상..

1. 운영체제 - 컴퓨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집합 - 하드웨어 자원을 관리 및 응용프로그램 실행 - 사용자가 컴퓨터에 명령을 내려서 동작할 수 있는 환경 제공 2. 유닉스 - 고급언어(인간의 언어의 가까운 언어) 로 개발된 최초의 운영체제 -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 가능 3. 유닉스의 역사 - 1969. AT&T 벨 연구소에서 개발 - 켄 톰슨, 데니스 리치 에 의해 어셈블리어로 개발 - 1973 어셈블리어에서 C언어로 변경 4. 유닉스 종류 - 리눅스 (Linux) 리누스 토발즈에 의해 개발된 운영체제 - 개발 초기부터 오픈 소스형태로 배포 - POSIX 규악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유닉스와 호환가능 - 유닉스 (만든회사) 오라클 솔라리스 (오라클), AIX (IBM), HP-Ux (HP) - 리눅스..